새로운 형태의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좌굴거동
Copyright ⓒ 2018 by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리브(ㅁ형)를 갖는 보강판의 좌굴거동에 대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ㅁ형 리브의 제원에 따른 좌굴능력의 변화가 일정한 양상을 나타냄에 따라 특정 좌굴하중을 갖는 ㅁ형 리브 단면을 구하는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었으며, 이 시스템을 실교량의 강바닥판에 적용하였을 때 기존 폐단면 리브보다 더 경제적인 ㅁ형 리브 단면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ㅁ형 리브 시스템을 이용하면, 소요 좌굴 능력을 가지면서도 보다 경제적인 강바닥판 설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parametric analysis for the buckling behavior of plates stiffened with the new type(ㅁtype) ribs was performed. Changes of the buckling capacity according to dimensions of ㅁ type ribs show certain behaviors, so that the system to find the section of ㅁtype ribs under the specific buckling capacity can be proposed. Applying this system to the steel deck of existing bridges, more economic sections of ㅁ type ribs rather than that of closed ribs can be obtained. Therefore, the economic section of steel deck having the required buckling capacity can be designed by using the proposed system of ㅁtype ribs.
Keywords:
Steel deck, Required buckling capacity, Economic section, New type rib, Closed rib Type rib키워드:
강바닥판, 소요 좌굴 능력, 경제적 단면, 새로운 형태의 리브, ㅁ형 리브, 폐단면 리브1. 서 론
큰 강도와 작은 소요단면으로 경제적 구조적 효율성을 갖는 보강판을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강바닥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휨 거동과 압축 응력에 따른 좌굴거동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강판의 휨거동과 좌굴거동 성능평가를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개단면 리브와 폐단면 리브 보강판에 국한되어 왔으며[1],[2],[3], 최근 들어 새로운 형태의 리브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4],[5].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리브 형태 중 기존의 휨거동 및 좌굴거동 연구[4],[5]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 ㅁ형 리브 보강판에 대하여, 보강판 제원에 따른 압축좌굴거동을 정형화하여 적정단면을 구한 뒤, 폐단면 리브를 사용한 실제 교량의 압축 좌굴거동과 비교함으로써 강바닥 판으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 매개변수 연구
본 장에서는 개단면 및 폐단면 리브에 대하여 제안된 최소 소요강성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정의한 뒤 여러 가지 ㅁ형 리브 보강판의 좌굴모드와 좌굴하중을 살펴보고자 한다.
2.1 해석 예제
Fig. 1과 같은 ㅁ형 리브 보강판에서 강판 두께를 tp, ㅁ형 리브의 간격을 s, 높이를 h, 복부 두께를 tw, 하부플랜지 두께를 tf, 하부플랜지 폭을 a, ㅁ형 리브 길이를 b라 정의한 뒤, 복부 두께 tw와 하부플랜지 두께 tf는 같고, 하부플랜지 폭 a는 리브 간격 s의 0.5배, ㅁ형 리브 길이 b는 하부플랜지 폭 a의 1.5배를 가진다고 가정하였을 때, 본 매개변수 연구에서 수행한 ㅁ형 리브의 각 제원은 Table 1과 같다.
2.2 매개변수 정의
ㅁ형 리브 보강판에 압축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Fig. 2와 같이 보강판의 강성에 따라 국부좌굴, 전체좌굴, 혼합좌굴 중 한 가지 좌굴모드를 나타내게 된다.
개단면과 폐단면 리브가 공존하는 ㅁ형 리브 보강판의 강성을 구하기 위하여 먼저 Fig. 3과 같이 개단면, 폐단면, 직사각형 다이아프램의 세 부분으로 나눈 뒤 강판 하단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를 구하면 식 (1)~(3)과 같다.
(1) |
(2) |
(3) |
ㅁ형 리브의 강성은 앞서 산정된 3가지 단면 2차 모멘트에 리브 전체 길이 L2에 대한 각 부분의 길이 비율을 곱하여 합하는 방법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를 나타내면 식 (4)와 같다.
(4) |
Yoo et al.(2001)[6], Choi and Yoo(2005)[7]은 Fig. 4에 나타낸 제원을 갖는 개단면 리브의 강성이 식 (5)의 최소 소요강성보다 작으면, 전체좌굴을 크면 국부좌굴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5) |
여기서, α1: 유효 형상비(=L1/w1)
n1: 보강재 개수(=2)
또한 Choi(2013)[8]는 Fig. 5와 같은 제원을 갖는 폐단면 리브 보강판에 대하여 유효 폭(w2)이 줄어든 효과를 고려하여 식 (6)과 같은 최소 소요강성 식을 제안하였다.
(6) |
여기서, α2: 유효 형상비(=L1/w2)
n2: 보강재 개수(=4)
Fig. 6과 같은 ㅁ형 리브 보강판에 식 (5)를 적용하기 위하여 유효폭은 ㅁ형과 개단면 사이 거리 w3를, 보강재 개수는 개단면 1개, 폐단면 2개로 총 3개를 적용하고 국부좌굴과 전체좌굴의 기준 값을 표현하기 위하여 계수 값을 0.9로 하면 최소 소요강성은 식 (7)과 같다.
(7) |
여기서, α3: 유효 형상비(=L1/w3)
n3: 보강재 개수(=3)
ㅁ형 리브 보강판의 강성과 좌굴모드 사이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식 (4)에서 정의한 ㅁ형 리브 강성을 식 (7)의 최소 소요강성으로 나눈 좌굴강성비(BR: buckling rigidity ratio)를 매개변수로 정의하면 식 (8)과 같다.
(8) |
2.3 매개변수 해석 결과
좌굴강성비(BR)와 좌굴모드, 좌굴하중 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Table 1에 나타낸 ㅁ형 리브를 갖는, 단순지지된 3× 6m 보강판에 대하여 25×25mm의 4절점 판요소를 기준으로 모델링하고, 리브 단면방향으로 등분포 압축하중을 재하한 뒤, MID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좌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좌굴모드별로 나타내면 Fig. 7과 같다.
Fig. 7에서 BR<1이면 전체좌굴, BR>1이면 국부좌굴, BR= 1 내외에서 혼합좌굴을 나타내며, 전체좌굴은 BR 증가 시 좌굴하중이 커지는 반면, 국부좌굴은 BR과 상관없이 유사한 좌굴하중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Fig. 7에서 좌굴하중 225,730kN을 기준선(1)로, 74, 199kN을 기준선(2)로 하고 좌굴하중이 기준선의 ±10% 이내인 제원을 찾아 기준 단면에 대한 좌굴하중비(PR)와 강재량비(VR)를 나타내면 Tables 2, 3과 같다.
Tables 2, 3으로부터 좌굴하중이 큰 기준선 (1)의 경우 만족하는 제원은 2개로 BR=1 근처의 값을 가지며, 좌굴하중이 작은 기준선 (2)의 경우 만족하는 제원은 10가지가 있으며 다양한 BR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기준 단면과 비교하면 Table 2의 Case 2는 PR=1.03 VR=0.99, Table 3의 Case 1은 PR=1.07 VR=0.80로 좌굴하중은 더 크고 강재량은 더 적어서 효율적이며, Table 3의 Case 2는 PR=0.99로 좌굴하중은 거의 같고 VR=0.60으로 강재량은 40% 더 적어서 훨씬 경제적임을 알 수 있다.
ㅁ형 리브의 강성이 최소 소요강성보다 작으면(BR<1) 전체좌굴을, 크면(BR>1) 국부좌굴을 나타내는 점을 이용하여 Fig. 7에서 혼합좌굴을 제외하면 Fig. 8과 같이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므로, 이후 연구부터는 좌굴강성비(BR)의 크기에 따라 전체좌굴과 국부좌굴로만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3. 좌굴거동 분석
본 장에서는 제원에 따른 ㅁ형 리브 보강판의 좌굴 양상을 전체좌굴과 국부좌굴로 나누어 파악하고 그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낸 광안대교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3.1 전체좌굴의 경우
Table 1의 예제 중 전체좌굴을 나타낸 보강판 제원을 기본으로 Table 5와 같이 리브 두께 7mm와 리브 높이 175mm를 추가하고, 리브 두께(tr)를 복부 두께(tw)와 플랜지 두께(tf)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Table 5의 좌굴해석 결과를 광안대교와 비교하여 리브 간격(s)을 기준으로 각 리브 높이(h)마다 복부 두께(tw)와 플랜지 두께(tf) 별로 나타내면 Fig. 9와 같다.
Fig. 9를 살펴보면 리브 높이가 클수록 기울기가 급해지면서 리브 간격에 따른 좌굴하중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며, 리브 높이가 클수록 더 큰 좌굴하중을 나타내어 더 많은 단면이 광안대교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Fig. 9의 각 추세선으로부터 광안대교와 유사한 좌굴하중을 갖는 ㅁ형 리브 보강판의 간격을 구하여 해석한 뒤 광안대교의 좌굴하중 및 강재량과 비교하여 나타내면 Table 6과 같다.
Table 6에서 광안대교보다 좌굴하중은 크면서(PR>1) 강재량은 작은(VR<1) 단면을 찾아보면, 리브 높이 150mm에는 적정단면이 없고, 175mm에는 8개의 적정단면이 1.1~18.7%까지 강재량 감소를, 200mm에는 5개의 적정 단면이 2.1~16.1% 강재량 감소를 나타내며, 리브 두께가 얇을수록 더 경제적인 단면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 결과로부터 적절한 리브 두께, 높이와 간격을 사용한다면 보다 더 경제적인 단면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2 국부좌굴의 경우
Table 1 중 국부좌굴을 나타내는 보강판의 제원을 기본으로 리브 높이 225mm를 추가하고, 리브 두께를 복부 두께와 플랜지 두께로 나누면 Table 7과 같으며, Table 7의 해석 결과를 리브 높이별로 나타내면 Fig. 10과 같다.
Fig. 10을 살펴보면 리브 간격 300mm에서만 약간의 차이를 보일 뿐 리브 높이와 상관없이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0에 나타난 각 추세선을 이용하여 광안대교와 유사한 좌굴하중을 갖는 ㅁ형 리브 보강판의 간격을 구한 뒤 해석한 결과를 광안대교의 좌굴하중 및 강재량과 비교하여 나타내면 Table 8과 같다.
Table 8을 살펴보면 광안대교보다 큰 좌굴하중(PR>1)을 가지면서 더 작은 강재량(VR<1)을 나타내는 적정단면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어, Fig. 8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좌굴강성비가 1보다 큰 국부좌굴이 발생하는 경우 좌굴하중과 강재량 면에서 불리한 단면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적용성 검토
본 장에서는 Table 9에 나타낸 광안, 청담, 가양대교의 결과와 ㅁ형 리브 보강판의 적정 단면 비교를 통하여 ㅁ형 리브 보강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더 많은 ㅁ형 리브 보강판의 적정 단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160mm와 200mm 사이를 10mm 간격으로 세분화한 뒤 각 단면에 대한 결과를 구하여 나타내면 Fig. 11과 같다.
Fig. 11의 각 추세선을 이용하여 Table 9에 나타낸 광안대교, 청담대교, 가양대교의 좌굴하중에 해당하는 ㅁ형 리브 보강판의 리브 간격을 구한 뒤, 각 단면의 좌굴하중과 강재량을 각 교량의 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내면 Tables 10~12와 같다.
Table 10(광안대교)을 보면 34가지 적정 단면에서 0.1~ 21.1%, Table 11(청담대교)을 보면 12가지 단면에서 0.9~ 11.5%, Table 12(가양대교)를 보면, 20가지 단면에서 0.4~ 15.9%의 강재량 감소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s 10~1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기존의 실교량과 유사한 좌굴하중을 가지면서도 강재량을 최대 21.1%까지 절약할 수 있어 좌굴거동 면에서 ㅁ형 리브 보강판의 적용성과 경제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리브 형태인 ㅁ형 리브가 실 교량에 적용 가능한지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ㅁ형 리브 강성이 최소 소요강성보다 작은 경우 전체좌굴이, 큰 경우 국부좌굴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2)제원 변화에 따른 좌굴거동이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어, 요구되는 좌굴하중을 가지는 여러 가지 ㅁ형 리브 단면을 찾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 (3)위 시스템을 실 교량에 적용한 결과 기존 폐단면 리브의 좌굴하중 이상을 가지면서 강재량은 적은 경제적인 ㅁ형 단면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ㅁ형 리브 보강판의 적정 단면을 찾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보다 경제적인 강바닥판 설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15학년도 세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기에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
박호상, 서상정, 권영봉(2010) 국부좌굴과 뒤틀림좌굴이 발생하는 종방향 보강재로 보강된 강판의 압축강도,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3호, pp.219-228.
Park, H.S., Seo, S.J., and Kwon, Y.B. (2010)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ongitudinally Stiffened Plates Undergoing Local and Distortional Buck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2, No.3, pp.219-228 (in Korean). -
최병호, 최수영(2012) 축방향 압축을 받는 폐단면 리브 보강판의 좌굴거동에 대한 해석적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12권, 제1호, pp.39-44.
Choi, B.H., and Choi, S.Y. (2012) Buckling Behavior of Longitudinally Stiffened Steel Plates by U-Shaped Rib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12, No.1, pp.39-44 (in Korean). [ https://doi.org/10.9798/KOSHAM.2012.12.1.039 ] -
김경식(2013) 보강판 시스템에 적용되는 판형보강재의 국부좌굴거동,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4권, 제12호, pp.6521-6526.
Kim, K.-S. (2013) Local Buckling Behavior of Flat-Type Stiffeners in Stiffened Plate Syste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AIS, Vol.14, No.12, pp.6521-6526 (in Korean). [ https://doi.org/10.5762/KAIS.2013.14.12.6521 ] -
주석범, 박종해(2014) 새로운 형태의 강바닥판 리브에 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6권, 제6호, pp.605-615.
Chu, S.B., and Park, J.H. (2014) A Study on the New Type Rib of Steel Deck Pl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6, No.6, pp.605-615 (in Korean). [ https://doi.org/10.7781/kjoss.2014.26.6.605 ] -
주석범, 이필남(2015) 여러 가지 형태의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좌굴 거동 분석, 2015년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봄 학술발표회 및 포럼 논문집,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pp.229-232.
Chu, S.B., and Lee, P.N. (2015) Buckling Behavior Analysis of Stiffened Plates Having Various Types of Ribs, Proceedings of 2015 Annual KSMI Conference,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pp.229-232 (in Korean). - Yoo, C.H., Choi, B.H., and Ford, E.M. (2001) Stiffness Requirements for Longitudinally Stiffened Box-Girder Flang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127, No.6, pp.705-711. [https://doi.org/10.1061/(ASCE)0733-9445(2001)127:6(705)]
- Choi, B.H., and Yoo, C.H. (2005) Strength of Stiffened Flanges in Horizontally Curved Box Girders,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131, No.2, pp.167-176. [https://doi.org/10.1061/(ASCE)0733-9399(2005)131:2(167)]
-
최병호(2013) 폐단면 리브 강성에 따른 일축압축을 받는 보강판의 국부좌굴강도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4권, 제2호, pp.949-954.
Choi, B.H. (2013) Evaluation of Local Buckling Strength of Stiffened Plates Under Uni-Axial Compression Due to Closed-Section Rib Stiff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AIS, Vol.14, No.2, pp.949-954 (in Korean). [ https://doi.org/10.5762/KAIS.2013.14.2.9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