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구조학회 학술지영문홈페이지

Best Pract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Vol. 27 , No. 2

[ Articl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Vol. 27, No. 2, pp. 131-142
ISSN: 1226-363X (Print) 2287-4054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5
Received 09 Jul 2014 Revised 11 Sep 2014 Accepted 17 Nov 2014
DOI: https://doi.org/10.7781/kjoss.2015.27.2.131

하모니 서치와 시뮬레이티드 어넬링을 사용한 트러스의 단면 및 형상 최적설계
김봉익1, *
1)국립경상대학교, 해양토목공학과

Optimum Design for Sizing and Shape of Truss Structures Using Harmony Search and Simulated Annealing
Kim, Bong Ik1, *
1)Professor, Department of Ocean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 Tel: +82-55-772-9124, Fax: +82-55-772-9120, E-mail: bikim@gnu.ac.kr


Copyright ⓒ 2015 by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초록

트러스구조는 대형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편리하며, 부재의 경량화에 따른 비용의 절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조물로 최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건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응력, 좌굴 그리고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제약조건을 고려한 트러스 구조물의 단면과 형상에 대해 최적설계를 하였다. 최적설계에서 최적화기법으로 HA-SA방법을 제시하였으며, HA-SA방법은 HA 초기메모리에서 최상의 설계를 SA의 초기 설계로 하여 최적화 하는 방법이다. 예제에 사용된 트러스 구조물은 고유진동수 제약조건으로 10-bar, 72-bar, 52-bar 트러스와 응력 및 좌굴응력 제약조건으로 18-bar, 47-bar 트러스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52-bar, 18-bar, 47-bar의 경우는 트러스의 형상을 최적설계 하였다. 예제로부터 다양한 설계 제약조건하에서 여러 연구결과와 HA, SA, GA, HA-SA방법에 의한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HA-SA방법의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ptimization of truss structures subjected to stress, buckling, and natural frequency constraints.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pose an efficient HA-SA algorithm for solving the truss optimization subject to multiple constraints. The procedure of hybrid HA-SA is a search method which a design values in harmony memory of harmony search are used as an initial value designs in simulated annealing search method. The efficient optimization of HA-SA is illustrated through several optimization examples. The examples of truss structures are used 10-Bar truss, 52-Bar truss (Dome), and 72-Bar truss for natural frequency constraints, and used 18-Bar truss and 47-Bar (Tower) truss for stress and buckling constraints. The optimum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of different techniques. The numerical results are demonstrated the advantages of the HA-SA algorithm in truss optimization with multiple constraints.


키워드: 하모니 서치, 시뮬레이티드 어넬링, 유전자 알고리즘, 트러스, 고유진동수, 좌굴
Keywords: Harmony search, Simulated annealing, Genetic algorithms, Truss, Natural frequency, Buckling

1. 서 론

최근에는 대형 건축구조물이나 플랜트와 같은 초대형 해양구조물에는 트러스형태의 구조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구조물은 강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계 및 시공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대형구조물에서는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최적설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제약조건하에서 트러스 구조물의 단면 및 형상 최적설계에 대해 연구 하였으며, 최적설계에는 응력제약, 좌굴응력제약, 고유진동수제약조건등이 적용되었다. 구조물최적설계는 연속변수에 의한 설계와 이산변수에 의한 설계로 나눌 수 있으나, 여기서는 연속변수 만을 사용하여 최적설계 하였다. 트러스 구조물의 응력 및 압축부재에 대한 좌굴응력제약을 사용한 연구는 Hansen and Vanderplaats[1], Salajegheh and Vanderplaats[2], Hasancebi and Erbatur[3], Ali et al.[4], Ahrari and Atai[5], Lee et al.[6]등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그리고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제약조건을 사용하여 단면 및 형상 최적설계에 대한 연구는 이승혜와 이재홍[7], 김형민과 이재홍[8], 도기영과 윤성원[9], 김봉익[10], Lingyun et al.[11], Sadek[12], Sedaghati et al.[13], Tong and Liu[14], Pantelides and Tzan[15], Kaveh[16], Wang[17]등에 의해 연구되었다. Hansen and Vanderplaats는 1차 테일러근사해법으로, Salajegheh and Vanderplaats는 Branch and bound방법으로 트러스의 응력 및 좌굴 제약조건하에 단면 최적화를 연구하였다. Hasancebi and Erbatur는 Boltzmann 파라메타와 시뮬레이티드 에널링을 사용하여 트러스구조물의 단면을 최적화 하였다. Ali et al.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평면 및 입체트러스의 단면 및 형상 최적화를 연구하였다. Ahrari and Atai는 Fully stressed design evolution strategy방법으로 트러스의 형상 및 단면 최적화를 수행 하였다. Lee et al.는 하모니 서치 알고리즘으로 트러스의 단면을 이산 최적화하였다. 김봉익은 하모니서치 알고리즘과 고유진동수 제약조건으로 트러스구조물의 단면 및 형상 최적화를 연구하였다. Lingyun et al.은 여러 가지 동적제약조건을 고려한 트러스의 형상 및 단면의 설계에 Niche hybrid유전자 알고리즘(NHGA)을 사용하여 최적화 하였다. Tong and Liu는 동적 및 응력, 변위제약조건을 고려한 트러스구조물의 설계에 이산자료를 사용한 이산최적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Sedaghati et al.는 진동수제약조건을 고려한 트러스와 프레임 구조물에 Finite element force method방법을 사용하여 최적설계 하였다.

일반적으로 최적화에 연속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변수의 수가 적으면 라그랑즈 승수법이나 Optimality criteria와 같은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최적설계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변수에 Gradient를 적용시켜 최적 해를 구한다. 만약 설계변수의 수 및 제약조건식이 증가하면 라그랑즈 승수법이나 Optimality criteria의 사용에는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변수 및 제약조건의 수가 많은 관계로 라그랑즈 승수법이나 Optimality criteria방법 보다는 설계함수에 Gradient가 적용되지 않고 확률론적 최적화 방법인 HA, GA, SA 및 HA-SA를 사용하여 최적설계를 시도하였다. 구조물 최적설계에는 연속설계변수를 사용하여 트러스의 단면 및 형상 최적설계를 시도하였으며, 최적화 기법으로는 HA-SA방법을 사용하였다. 최적설계 예제에는 동적제약조건 및 부재응력과 압축부재에 대한 좌굴응력 제약조건이 적용되었다. 최적설계에 사용된 예제는 10-bar, 52-bar, 72-bar트러스의 경우 고유진동수 제약으로 단면 및 형상을 최적화 하였다. 18- bar, 47-bar 트러스의 경우는 부재응력과 좌굴응력 제약조건으로 단면 및 형상 최적화를 시도 하였다. HA-SA방법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방법이며, 하모니 서치의 하모니 메모리내의 가장 나은 설계를 시뮬레이티드 에널링의 초기 설계 값으로 최적설계를 찾는 방법 이다. 그리고 HA-SA방법의 결과와 유전자 알고리즘 및 여러 연구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2. 구조물의 최적화 문제형성

구조물 최적화에는 여러 종류의 설계조건들이 있으나 주로 비용이 최소가 되게 하든지 아니면 총무게가 최소가 되게 설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총 무게가 최소가 되게 최적설계 하였다. 최적설계경우 목적함수( 및 제약조건식은 다음과 같다.

Minimize (1)

subject to

(2)

(m natural frequency constraints)

(3)

(n cross-sectional constraints)

   (4)

(n stress constraints)

  (5)

(n buckling stress constraints for compressive members)

여기서,  번째 부재에 대한 밀도, 단면적 및 길이

       번째 고유진동수 및 주어진 특정 고유진동수

       번째 부재의 단면적 및 최저 한계 값

       번째 부재의 응력 및 최저 한계 값

       번째 부재의 응력 및 좌굴응력 값


3. 최적화 알고리즘

3.1 하모니 서치

하모니 서치(Harmony search; HS) 알고리즘은 확률론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최적화기법이다[6]. 하모니 알고리즘은 음악가가 보다 좋은 음악의 구성요소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수리 모델화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16]. HS알고리즘은 십진수를 사용하여 확률론적으로 해를 구하는 방법인데 이는 유전자 알고리즘에서 이진수를 사용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결국 HS알고리즘과 유전자 알고리즘은 랜덤 과정을 통해 확률론적으로 해에 접근하는 방법은 유사하다. HS알고리즘은 5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며 아래와 같다.

Step 1. 초기 값 설정

최적화문제의 해를 구하기 위한 초기 값의 설정과정이다. 설계변수의 크기 및 변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설정, 하모니 메모리 크기(Harmony memory size; HMS)설정, 하모니 메모리 채택 비(Harmony memory considering ratio; HMCR)설정, 피치 조정비(Pitch adjusting ratio; PAR)설정, 전 과정의 반복횟수 설정을 초기화 한다.

Step 2. 하모니 메모리(Harmony memory; HM) 초기화

하모니 메모리의 초기화 단계. 초기 값 설정단계에서 설계변수의 수와 HMS의 값에 의해 랜덤 과정을 거쳐 HM을 초기화 시킨다(식 (6)).

HM =       (6)

여기서 은 HM에서 설계집단의 크기이다.

Step 3. 새로운 하모니 메모리 구성

새로운 하모니 메모리의 구성단계. 새로운 HM은 확률 의 값에 따라 HM에서 설계들이 새로운 HM에 선택되는 기준의 판단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새로운 HM을 구성하기위한 설계는 아래 식의 조건으로 만들어진다.

(7)

(8)

이 과정은 확률 보다 적을 경우 설계를 다시 수정하여 새로운 HM을 구성한다(식 (8)).

Step 4. 하모니 메모리 업데이트

새로운 HM이 구성된 후 각각의 설계변수에 해당되는 설계 값을 구하여 HM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설계 값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나쁜 값은 HM에서 제외하고 새로운 설계로 업데이트되는 과정이다. 그리고 HM에 가장 우수한 값부터 차례로 설계 값을 나열한다.

Step 5. Step 3과 Step 4의 반복과정

Step 3과 Step 4가 주어진 반복수만큼 반복 작업을 통해 해를 구하는 단계이다.

3.2 시뮬레이티드 어넬링

시뮬레이티드 어넬링(Simulated Annealing; SA)은 주어진 온도 하에서 평형상태에 있는 입자의 운동에 대한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Metropolis et al.(1953)[18]에 의해 제안되었고, Kickpatrick et al.(1983)[19]에 의해 공학에 적용되었다. SA는 전 설계 공간이 아닌 현 설계 근처의 설계공간에서 무작위한 교란 작업을 통해 얻어진 설계와 현 설계를 비교하여 이 두 설계 중 현 설계가 수용될 수 있는지를 판정하여 해를 찾아가는 방법이며, GA에서와 같이 함수의 결과 값만이 요구된다. SA는 교란 후 얻어진 설계가 현 설계보다 개선된 설계가 되면 새로운 설계로서 수용이 된다. 반면 교란 후 얻어진 설계가 제약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제거 된다. 그러나 교란 후 얻어진 설계가 제약조건을 만족하면서 현 설계와 비교하여 목적함수의 값이 큰 값의 설계라면 교란 후 얻어진 설계는 랜덤 수와 수용확률( )은 Metropolis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아래와 같다.

 (9)

여기서, D : 현 설계와 교란 후 얻어진 설계의 목적함수 차이

      C : 정규화 상수(2.0)

      T : 주어진 온도

3.3. 유전자 알고리즘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s; GA)은 생물진화 과정을 수리 모델화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20]. 유전자 알고리즘은 함수의 미분가능성이나 함수의 convexity를 요구하지 않고 단지 함수의 값만 요구되므로 최적화문제의 해결에는 매우 적합한 설계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최적화 방법에서처럼 초기 설계 값을 사용하지 않고 설계집단을 사용하므로 전 공간 설계를 찾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번식, 교차, 돌연 변이 등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세대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세대가 반복되면서 우수한 설계들로 구성되는 설계집단 중 가장 우수했던 설계가 최적의 해(설계)가 되는 것이다.

3.3.1 번식

번식은 현 세대의 설계집단에서 다음세대의 설계집단으로 우수한 설계를 전달하기 위한 정보를 각 개체에 제공하는 과정이다. 번식과정에서 초기 설계집단은 모두 랜덤과정을 통해 집단이 구성된다. 번식은 적합성이 좋은 개체는 선택될 기회가 많이 주어지고 반면에 적합성이 나쁜 개체는 선택될 기회가 적게 주어지도록 각 개체에 확률을 부여하고, 각각의 개체에 부여된 확률에 따라 각 개체들이 새로운 집단에서 새로운 개체들로 선택되는 과정을 말한다.

3.3.2 교차

교차는 번식의 과정 후 비교적 적합성이 우수한 개체들로 구성된 집단에서 인자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이전 세대보다 나은 방향으로의 개체를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교차는 한 쌍의 2진 문자열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각각의 2진 문자열들은 번식 후 구성된 현 집단에서 무작위로 선택된다. 교차는 모든 개체에 대해 전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차확률( )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3.3.3 돌연변이

돌연변이는 번식과정 중 열성 개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체들 사이에 새로운 변화를 주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에서도 돌연변이과정을 통해 또 다른 국지최적설계를 찾을 수 있다. 즉 돌연변이과정은 선택 된 하나의 국지 최적설계에 머물지 않고 또 다른 국지 최적설계로 이동 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이다.

3.4 HA-SA 알고리즘



Fig. 1. HA-SA algorithm optimization procedure


HA-SA알고리즘은 HA의 전 설계공간에서 최적 해를 찾는 방법과 SA의 부분설계공간에서 최적 해를 찾는 방법을 혼합하여 새로운 해를 찾는 방법이다. HA-SA알고리즘은 GA에서 사용되는 준 연속(pseudo-continuous)변수와는 달리 모두 십진법과 랜덤수를 사용한 연속변수를 사용한다. GA에서는 2n의 유한개의 이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준 연속변수가 사용된다. HA방법은 전설계 공간에서 최적의 해를 찾는 능력이 여러 다른 최적화 기법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HA는 최적해의 수렴 속도가 느리고 또한 최적 해를 얻기 위해 많은 계산에 요구된다. 반면 SA는 한정된 설계공간에서 최적 해를 찾는 능력이 탁월하다. HA-SA알고리즘는 HA의 전 공간 탐색기능과 SA의 부분 공간 탐색기능들의 장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최적 해를 찾는 방법이며, 적은 Iteration으로 최적해를 찾는 방법이다. HA-SA알고리즘은 HA의 초기메모리 구성과정에서 제약조건이 만족되는 설계들로 구성한 후 초기 메모리에서 최소값에 해당되는 설계를 SA의 초기 설계 값으로 대신 해서 전체설계집단에서 최적 해를 찾는 방법이다. HA-SA의 전 최적화 과정은 Fig.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HA-SA의 유용성을 검정하기 위해 다른 최적화 기법인 유전자 알고리즘과 하모니서치 알고리즘 및 시뮬레이티드 어넬링에 의한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4. 설계예제

4.1 10-Bar 트러스 구조물[21]

10-bar 트러스의 제원은 아래 Fig. 2와 같으며, 재료의 탄성계수 20.0Hz가 적용되었으며, 총무게가 최소가 되게 최적 설계하였다.



Fig. 2. 10-bar truss structure


Table 1은 본 연구에서 제시된 HS-SA에 의한 최적 설계결과이다. Table 2는 고유 진동수에 대한 최적 설계결과이며, 제약조건( )을 모두 만족하였다. Table 1의 결과로부터 여러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HS-SA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설계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GA, SA, HA에 의한 결과보다는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Fig. 3은 해의 수렴 상태이며, HA-SA의 경우 적은 Iteration수에서 매우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g. 4는 HA-SA에서 20개의 초기 설계 값에 대해 해의 수렴상태를 나타낸다. 설계 공간 내에서 여러 개의 다른 초기 설계 값에도 일정한 설계 값으로 수렴함을 알 수 있어 HA-SA의 수렴성과 사용성을 입증 할 수 있다.



Table 1. Optimal design for continuous variables (cm2)

Element 

number

Sedaghati

kaveh

This paper

GA

SA

HA

HA-SA

1

38.245

35.274

36.935

32.454

35.849

31.781

2

9.916

15.463

16.760

11.09

10.559

14.118

3

38.619

32.11

30.698

37.326

30.218

32.454

4

18.232

14.065

15.161

15.007

19.556

13.920

5

4.419

0.645

0.702

5.560

0.645

0.645

6

4.194

4.880

4.274

4.230

5.108

4.303

7

20.097

24.064

22.419

28.373

12.358

0.169

8

24.097

24.340

14.651

12.272

24.433

19.810

9

13.890

13.343

11.589

10.020

15.938

12.525

10

11.452

13.543

12.836

13.472

10.991

12.062

Weight (N)

5266.17

5188.60

4758.67

4901.76

4767.96

4676.69

Table 2. Frequency for continuous variables (Hz)

Frequency

number

Sedaghati

Kaveh

This paper

GA

SA

HA

HA-SA

1

6.992

7.000

7.001

7.000

7.005

7.000

2

17.599

16.119

16.485

17.877

15.681

16.411

3

19.973

20.075

20.039

20.000

20.000

20.000

4

19.977

20.457

20.392

20.838

20.734

20.001

5

28.173

29.149

28.613

28.868

28.028

28.084

6

31.029

29.761

30.473

33.646

32.199

30.870

7

47.628

47.950

51.606

47.216

51.239

50.433

8

52.292

51.215

54.680

57.155

54.200

52.683


4.2 72-Bar 트러스 구조물

72-bar 트러스의 제원은 아래 Fig. 5와 같으며, 재료의 탄성계수 6.0Hz가 적용되었다. Table 3은 HS-SA알고리즘에 의한 최적 설계결과이며, Table 4는 고유 진동수에 대한 설계결과이다. Table 3에서 HA-SA에 의한 설계결과는 Sedaghati보다 1.12% 개선된 설계결과를 얻었으며, 이 경우 Iteration 수 40에서 최적 설계값을 얻었다. Fig. 6은 해의 수렴 상태이다.



Fig. 3. Convergence behaviour of 10-bar truss

Fig. 4. Convergence behaviour by 20 initial designs

Fig. 5. 72-bar truss structure




Fig. 6. Convergence behaviour of 72-bar truss

Table 3. Optimum design for continuous variables (cm2)

Element group

Sedaghati

kaveh

This paper

GA

SA

HA

HA-SA

1-4

3.499

2.854

3.897

2.496

3.284

3.452

5-12

7.932

8.301

7.881

7.205

8.278

7.784

13-16

0.645

0.645

0.645

0.761

0.722

0.645

17-18

0.645

0.645

0.645

0.748

0.657

0.645

19-22

8.056

8.202

7.056

7.908

8.239

7.816

23-30

8.011

7.043

8.086

8.179

7.583

8.031

31-34

0.645

0.645

0.645

0.664

0.830

0.645

35-36

0.645

0.645

0.645

0.632

0.645

0.645

37-40

12.812

16.328

13.234

12.332

12.982

12.622

41-48

8.061

8.299

7.969

7.669

7.323

7.932

49-52

0.645

0.645

0.645

0.761

0.686

0.645

53-54

0.645

0.645

0.645

0.716

0.704

0.645

55-58

17.279

15.048

16.876

18.840

16.716

17.137

59-66

8.088

8.268

7.823

8.978

8.773

8.006

67-70

0.645

0.645

0.645

0.832

0.645

0.645

71-72

0.645

0.645

0.645

0.774

0.766

0.645

Weight

(N)

3212.65

3211.67

3181.47

3228.34

3210.89

3176.76




Table 4. Frequency for continuous variables (Hz)

Frequency

no.

Sedaghati

kaveh

This paper

GA

SA

HA

HA-SA

1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2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3

6.000

6.004

6.000

6.008

6.004

6.000

4

6.247

6.249

6.286

6.405

6.293

6.260

5

9.074

8.973

9.158

8.706

9.298

9.095


4.3 18-Bar 트러스 구조물

18-bar 트러스의 제원은 아래 Fig. 7과 같으며, 재료의 탄성계수 )은 식 (10)과 같다.



Fig. 7. Initial configuration of 18-bar truss

Fig. 8. Optimal and initial configuration of 18-bar truss


 (10)

여기서,   : 4.0 (좌굴계수)

        : 재료 탄성계수

       부재 단면적

       부재 길이



Table 5. Optimal design of 18-bar truss

Variable 

Hansen 

Salajegheh

This paper

GA

SA

HA

HA-SA

A1(cm2)

82.302

80.625

80.321

81.381

82.682

82.682

A2(cm2)

114.617

114.294

123.47

119.22

113.281

113.281

A3(cm2)

35.798

34.895

35.707

29.655

37.243

37.243

A5(cm2)

21.027

23.930

24.000

22.102

20.768

20.768

X3 (m)

2.239

2.311

23.731

23.285

23.024

23.024

Y3 (m)

0.454

0.468

5.080

4.9095

4.575

4.575

X5 (m)

1.597

1.629

16.890

16.669

16.606

16.606

Y5 (m)

0.317

0.370

4.064

4.0057

3.612

3.612

X7 (m)

0.992

1.046

10.755

10.784

10.337

10.337

Y7 (m)

0.170

0.246

2.540

2.7215

2.443

2.443

X9 (m)

0.793

0.510

5.387

5.3026

5.035

5.035

Y9 (m)

0.114

0.077

0.864

0.9020

0.883

0.883

Weight

(KN)

20.039

20.044

21.749

20.044

20.290

20.038

Table 6. Stress and buckling constraints of compressive members (Kg/cm2)

No

Hansen 

Salajegheh

This paper

1

490.087

812.10

416.78

413.41*

427.99

427.99

2

415.404

353.04*

439.50

1217.7

467.12

1257.3

3

608.768

746.39

675.77

674.12*

689.03

689.03

4

486.915

512.61

668.20

668.34

685.89

685.90

5

777.154

826.37

902.71

901.69*

904.42

904.42

6

489.113

341.14*

484.59

486.00

481.38

481.38

7

918.412

7713.4

1014.6

1015.3

1001.0

1001.0

8

484.607

337.68*

298.84

299.19

281.87

281.90

9

1193.90

496.97*

1198.5

1199.6

1184.6

1184.6

*Constraints violated


Table 5는 HS-SA알고리즘에 의한 최적 설계결과이다. 이 경우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Hansen과 Salajegheh의 경우 일부 부재에서 좌굴응력제약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응력 및 좌굴에 대한 제약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으며, Table 6은 압축부재의 좌굴응력에 대한 설계결과이다. Fig. 8은 HA-SA에 대한 최적설계 형상이다.

4.4 47-Bar(송전탑) 트러스 구조물



Fig. 9. Initial configuration of 47-bar truss


47-bar 트러스의 제원은 아래 Fig. 9와 같으며, 재료의 탄성계수 )는 3.96을 사용하였다. Table 7은 단면의 최적화 결과이며, Table 8은 좌표변수에 대한 최적설계결과이다. GA, SA, HA보다는 월등히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Salajegheh보다는 46.63%의 개선된 설계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설계제약조건인 응력과 좌굴응력에 대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으며, HA-SA의 방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Fig. 10은 해의 수렴상태이며, Fig. 11은 최적설계형상이다.



Table 7. Optimal design of 47-bar truss (area variable)

Mem-ber

Han-sen 

Salajegheh

This paper

GA

SA

HA

HA-SA

3

15.609

16.8345

15.692

1.348

7.97865

9.7085

4

15.1575

16.512

7.8496

1.0817

6.45

6.9976

5

5.289

4.4505

10.848

0.71048

6.45

0.645

7

0.645

3.0315

3.2508

0.12306

28.4896

0.645

8

5.547

5.16

7.578

0.96342

10.5586

6.980

10

7.4175

7.2885

13.287

1.124

21.7881

4.859

12

11.4165

11.0295

8.636

1.2839

18.3696

8.359

14

4.3215

4.9665

6.598

0.55571

6.45

3.6794

15

5.547

7.0305

9.0816

0.65983

9.6621

4.009

18

7.998

8.643

16.286

0.93302

6.45

5.714

20

2.1285

2.322

5.7598

0.34482

6.76605

1.786

22

7.869

6.2565

9.4750

0.63807

10.2942

3.857

24

5.9985

6.45

7.9206

1.1844

21.8913

6.676

26

5.547

6.6435

13.698

1.0441

10.9779

6.624

27

4.4505

5.676

7.8496

1.2298

11.9067

5.690

28

0.9675

3.5475

7.2627

0.26214

6.45

0.645

30

15.867

16.7055

11.461

1.3338

18.7695

9.653

31

5.805

5.418

2.289

0.55374

6.45

1.192

33

0.645

1.6125

6.9144

0.13289

9.9588

0.645

35

17.673

18.447

18.840

2.207

7.9335

11.663

36

5.934

5.934

8.7333

0.22262

6.45

1.216

38

0.645

4.3215

2.3413

0.1305

10.8231

0.645

40

18.963

19.737

16.234

1.6824

18.3696

11.966

41

7.2885

6.708

2.9347

0.11094

6.45

0.7544

43

0.645

0.645

0.7933

0.11024

7.8174

0.645

45

20.124

20.1885

17.808

2.338

19.7176

14.874

46

7.095

7.224

13.551

0.44887

7.5594

  1.947

*Areas are cm2

Fig. 10. Convergence behaviour of 47-bar truss


4.5 52-Bar(Dome) 트러스 구조물



Fig. 11. Optimal configuration of 47-bar truss

Fig. 12. Initial configuration of the 52-bar truss


52-bar 트러스의 제원은 아래 Fig. 12와 같으며, Fig. 13은 옆(side view)의 형상이다. 재료의 탄성계수 28.648이 적용되었다. Table 9는 HS-SA알고리즘에 의한 최적설계결과이며, Gomes의 결과 보다는 17.88%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Table 10은 고유 진동수에 대한 설계결과이며, 동적제약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다. Fig. 14는 해의 수렴상태이며, Fig. 15는 HS-SA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결과의 형상이다.



Table 8. Optimal design of 47-bar truss (Coordinate variable)

Varia-ble

Han-sen 

Salajegheh

This paper

GA

SA

HA

HA-SA

X2

2.72034

2.7371

236.4461

113.32

255.3741

281.7368

X4

2.31648

2.26441

228.7245

92.356

214.9704

228.2723

Y4

3.11912

3.50469

306.512

113.79

319.5218

289.1536 

X6

1.88468

1.69545

178.7677

76.519

158.1099

185.3082

Y6

6.13156

6.46354

545.5412

197.14

636.9101

521.5636

X8

1.6637

1.45745

143.4617

56.109

143.3906

143.3982

Y8

8.24484

8.69086

779.3812

304.6

786.986

748.284

X10

1.45034

1.26619

116.5962

44.736

83.29168

108.6866

Y10

10.17016

10.59612

919.6146

371.99

1132.944

936.0408

X12

1.25222

1.13436

103.6117

39.634

68.72478

73.80732

Y12

11.99642

12.07389

1135.428

441.54

1229.335

1124.737

X14

1.20396

1.04369

115.7529

35.144

68.92798

84.7852

Y14

12.8905

13.03401

1255.822

507.78

1341.514

1287.094

X20

0.09906

0.45466

10.3251

6.6762

33.18764

5.17804

Y20

14.8971

15.18717

1503.467

587.67

1470.538

1493.164

X21

2.11582

2.37592

128.1176

77.832

246.7077

225.6028

Y21

16.1544

15.84808

1579.369

619.59

1554.709

1582.725

Weight

(N)

8236.50 

8460.09  

7025.48

5027.28

6871.32

4540.77

*Coordinate are meter

Fig. 13. Initial configuration of 52-bar truss (side view)




Fig. 14. Convergence behaviour of 52-bar truss

Fig. 15. Optimal configuration of 52-bar truss

Table 9. Optimal design of 52-bar truss

Variables 

kaveh 

Gomes

This paper

GA

SA

HA

HA-SA

ZA (m)

5.331

5.5344

4.125

5.747

5.7472

3.768

XB (m)

2.134

2.0885

2.750

2.073

2.0526

2.933

ZB (m)

3.719

3.9283

3.703

3.735

3.7346

3.291

XC (m)

3.935

4.0255

4.234

3.984

3.9568

4.303

ZC (m)

2.500

2.4578

2.516

2.429

2.4290

2.299

A1(cm2)

1.0000

0.3696

1.000

1.017

1.0169

1.000

A2(cm2)

1.3056

4.1912

1.156

1.243

1.2428

1.533

A3(cm2)

1.4230

1.5123

1.391

1.380

1.4381

1.266

A4(cm2)

1.3851

1.5620

1332

1.538

1.5380

1.602

A5(cm2)

1.4226

1.9154

1.078

1.500

1.5455

1.000

A6(cm2)

1.0000

1.1315

1.000

1.013

1.0129

1.000

A7(cm2)

1.5562

1.8233

1.234

1.610

1.6097

1.129

A8(cm2)

1.4485

1.0904

1.801

1.218

1.2184

1.773

Weight

(N)

1934.94

2239.64

1889.54

1909.45

1972.59

1839.23




Table 10. Natural frequency of 52-bar truss (Hz)

Frequency

no.

kaveh

Gomes

This paper

GA

SA

HA

HA-SA

1

12.987

12.751

15.156

10.414

10.206

 15.887

2

28.648

28.649

28.649

28.652

28.648

 28.645

3

28.679

28.649

28.649

28.652

28.684

 28.645

4

28.713

28.803

28.649

28.684

28.796

 28.645

5

30.262

29.230

29.225

29.328

29.508

 28.976



5. 결 론

대형 구조물이나 플랜트와 같은 초대형 해양구조물에는 많은 부분에서 트러스형태의 구조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트러스 구조물은 설계 및 시공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점이 있으며, 대형구조물에서는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최적설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HA의 전 공간 탐색기능과 SA의 부분 공 간 탐색기능들을 사용한 HA-SA방법을 사용하여 응력제약, 좌굴응력제약, 고유진동수제약조건등 여러 제약조건이 적용된 트러스 구조물의 단면 및 형상 최적설계에 대해 연구 하였다10-Bar 트러스의 경우 Table 1로부터 Sedaghati보다는 11.2% 개선된 설계 값을 얻었다. 그리고 Fig. 3으로부터 최적화 과정 중 1500 Iteration에 의한 GA에 대한 설계 값에 비하면 HA-SA방법은 50 Iteration으로 매우 개선된 값을 구할 수 있었다. 72-bar 트러스의 경우 Table 3에서 HS-SA알고리즘에 의한 최적 설계결과가 Sedaghati보다는 1.12%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이 경우 Iteration수 40에서 최적 설계 값을 찾았으며, HA-SA방법이 GA, SA, HA에 의한 설계보다 아주 적은 Iteration수로 최적설계를 찾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18-bar 트러스의 경우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Hansen과 Salajegheh의 경우 일부 부재에서 좌굴응력제약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52-bar 트러스의 경우 Gomes의 결과 보다는 17.88%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이 모두의 경우 고유진동수 제약조건을 모두 만족하였다. 47-bar 트러스의 경우 적은 Iteration수로 HA-SA에 의한 결과는 Salajegheh보다는 46.63%의 개선된 설계결과로 매우 만족할 만한 결과가 됨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의 예제를 통하여 트러스 구조물의 최적설계에 다양한 제약조건들을 사용한 최적화 통해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HA-SA방법이 HA, SA, GA등과 같은 다른 최적화 방법보다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전반적으로 30-50 Iteration의 적은 계산실행과정을 통해 최적설계를 찾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HA-SA 알고리즘은 확률론적인 최적화 방법인 HA와 SA의 장점들을 조합으로 구성된 최적화 기법이며, 함수의 연속성 및 미분 값을 요구하지 않으며, 설계변수의 수 및 여러 제약 조건 등에 많은 제약을 받지 않는 과정임을 고려하면 트러스 구조물의 설계 최적화문제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HA-SA 알고리즘은 비교적 최적해로 접근하는 안정성이 좋아 다른 여러 공학 분야에 적용성이 높다 하겠다.


References
1. Hansen, S.R., and Vanderplaats, G.N. (1990) Approximation Method for Configuration Optimization of Trusses, AIAA Journal,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Vol.28, No.1, pp.161-168.
2. Salajegheh, E., and Vanderplaats, G.N. (1993) Optimum Design of Trusses with Discrete Sizing and Shape Variables, Structural Optimization, Springer, Vol.6, No.2, pp.​79-85.
3. Hasançebi, O., and Erabatur, F. (2002) On Efficient Use of Simulated Annealing in Complex Structural Optimization Problems, Acta mechanica, Springer, Vol.157, pp.27-50.
4. Ali, N., Behdinan, K., and Fawaz, Z. (2003) Applicability and Variability of a GA Based Finite Element Analysis Architecture for Structural Design Optimization, Computer & Structures, Elsevier, Vol.81, pp.2259-2271.
5. Ahrari, A., and Atai, A.A. (2013) Fully Stressed Design Evolution Strategy for Shape and Size Optimization of Truss Structures, Computer & Structures, Elsevier, Vol.​123, pp.58-67.
6. Lee, K.S., Geem, Z.W., and Bae, K.-W. (2005) The Harmony Search Heuristic Algorithm for Discrete Structural Optimization, Engineering Optimization, Taylor & Francis, Vol.37, No.7, pp.663-684.
7. 이승혜, 이재홍(2013) 역 최적화 방법을 이용한 트러스 구조물의 손상탐지,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5권, 제4호, pp.441-449.
Lee, S.H., and Lee, J.H. (2013) Damage Detection in Truss Structures Using Anti-Optim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5, No.4, pp.​441-449 (in Korean).
8. 김형민, 이재홍(2012)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트러스 구조물 손상탐지,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4권, 제5호, pp.549-​558.
Kim, H.M., and Lee, J.H. (2012) Damage Detection of Truss Structures Using Genetic Algorith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4, No.​5, pp.549-558 (in Korean).
9. 도기영, 윤성원(2014) 보도교의 구조시스템별 고유진동수분석,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6권, 제5호, pp.375-383.
Do, K.Y., and Yun, S.W. (2014)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According to Span of Foot-Brid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6, No.​5, pp.375-383 (in Korean).
10. 김봉익, 권중현(2013) 하모니 서치 알고리즘과 고유진동수 제약조건에 의한 트러스의 단면과 형상 최적설계,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회, 제27권, 제5호, pp.36-42.
Kim, B.-I., and Kown, J.-H. (2013) Optimum Design of Truss on Sizing and Shape with Natural Frequency Constraints and Harmony Search Algorithm,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The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s, Vol.27, No.5, pp.​36-42 (in Korean).
11. Lingyun, W., Mei, Z., Guangming, W., and Guang, M. (2005) Truss Optimization on Shape and Sizing with Frequency Constraints Based on Genetic Algorithm, Computer Mechanics, Springer, Vol.35, No.5, pp.361-368.
12. Sadek, E.A. (1996) Minimum Weight Design of Structures Under Frequency and Frequency Response Constraints, Computer & Structures, Elsevier, Vol.60, pp.73-​77.
13. Sedaghati, R., Suleman, A., and Tabarrok, B. (2002) Structural Optimization with Frequency Constraints Using the Finite Element Force Method, AIAA Journal,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Vol.40, No.2, pp.382-388.
14. Tong, W.H., and Liu, G.R. (2001) An Optimization Procedure for Truss Structures with Discrete Design Variables and Dynamic Constraints, Computer & Structures, Elsevier, Vol.79, No.2, pp.155-162.
15. Pantelides, C.P., and Tzan, S.-R. (1997) Optimal Design of Dynamically Constraints Structures, Computer & Structures, Elsevier, Vol.62, No.1, pp.141-149.
16. Kaveh, A., and Zolghadr, A. (2012) Truss Optimization with Natural Frequency Constraints Using a Hybridized CSS-BBBC Algorithm with Trap Recognition Capability, Computer & Structures, Elsevier, Vol.102-103, pp.​14-27.
17. Wang, D., Zhang, W.H., and Jiang, J.S. (2004) Truss Optimization on Shape and Sizing Frequency Constraints, AIAA Journal,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Vol.42, No.3, pp.622-630.
18. Metropolis, N., Rosenbluth, A.W., Rosenbluth, M.N., Teller, A.H., and Teller, E. (1953) Equation of State Calculations by Fast Computing Machines, The Journal of Chemical Physics, AIP, Vol.21, No.6, pp.1087-1092.
19. Kickpatrick, S., Gelatt, C.D., Jr., and Vecchi, M.P. (1983) Optimization by Simulated Annealing,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Vol.220, No.​4598, pp.671-680.
20. Goldberg, D.E. (1989) Genetic Algorithms in Search, Optimization, and Machine Learning, Addison-Wesley, USA.
21. 김봉익(2012)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강구조물의 최적설계,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4권, 제6호, pp.701-710.
Kim, B.I. (2012) Optimum Design of Steel Structures Using Genetic Algorith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4, No.6, pp.701-710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