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구조학회 학술지영문홈페이지
[ Articl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Vol. 24, No. 05, pp.503-510
ISSN: 1226-363X (Print) 2287-4054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Oct 2012
Received 22 Jun 2012 Revised 09 Aug 2012 Accepted 25 Sep 2012
DOI: https://doi.org/10.7781/kjoss.2012.24.5.503

강종에 따른 종방향 필릿용접부 공칭강도 계산식의 제안

조재병1), * ; 이혜영2)
1)교수,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2)석사,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Proposal of Estimation Equation for Nominal Strength of Longitudinal Fillet Welds with Different Types of Steel
Jo, Jae Byung1), * ; Lee, Hye Young2)
1)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Kyonggi Univ., Kyonggi, 433-760, Korea
2)Master, Dept. of Civil Engineering, Kyonggi Univ., Kyonggi, 433-760, Korea

Correspondence to: * Tel: +82-31-249-9722, E-mail: jbj@kyonggi.ac.kr

초록

최근 고성능, 고강도 강재가 개발되어 강구조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새로 개발된 고강도 구조용 강재는 일반적인 강도의 강재에 비하여 인성, 용접성, 항복강도비 등이 다르므로 필릿용접부에 대해 기존 설계기준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내외의 설계기준에 따른 필릿용접부의 공칭강도 값을 비교한 결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릿용접부 강도시험 결과를 수집 분석하였다. 필릿용접의 강도를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모재의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그리고 용접금속의 인장강도를 각각 선택하여 강도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공칭강도 추정식을 사용하여 각 강종별로 구한 계산 값은, 선택한 주요변수의 종류와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릿용접부의 거동특성과 설계의 실용성을 고려하여 모재의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공칭강도를 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안된 공칭강도와 비교한 결과 기존의 설계기준에 따른 필릿용접부의 공칭강도는 낮은 강도의 강재에 대해서는 비경제적이고, 고강도 강재의 경우에는 적절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Abstract

High performance, high strength steels were developed and used in steel structures recently. Since the newly developed high strength steels posses different toughness, weldability, yield strength ratio, etc. in compare with conventional structural steels, it is requr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 strength of fillet weld specified in the existing design codes. The comparison of the design strengths of various codes from domestic and overseas shows quite a difference. Test results for fillet weld strength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Each of 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of parent material and tensile strength of weld metal was selected as a main parameter for each estimation equation respectively. All the estimation equations yield almost same values for each type of steel regardless the type of main parameter selected. Considering the behaviour of fillet welded joints and for practical purposes, it is proposed that the equation with tensile strength of parent material is to be used in design codes. The comparison with the proposed nominal strengths of fillet welds shows that the existing design codes could lead to an uneconomical result for low strength steels and lie on an unsafe side for high strength steels.

키워드:

종방향 필릿용접, 필릿용접 강도, 공칭강도, 고강도 강재

Keywords:

longitudinal fillet weld, strength of fillet welds, nominal strength, high strength steel

References